언어 선택
대한민국의 OTT 시장에서 독보적 위치를 차지하던 넷플릭스에 강력한 도전자가 등장했습니다. 바로 드라마 ‘정년이(Jeongnyeon: The Star is Born)’를 앞세운 티빙입니다. 제작비 336억 원이 투입된 대작 ‘정년이’는 첫 방송 전부터 우려와 기대를 동시에 안으며 시작했지만, 최종회에서 최고 시청률 18.8%를 기록하며 대성공을 거뒀습니다. 김태리가 주연을 맡은 이 작품은 단순한 드라마를 넘어 OTT 시장의 판도를 흔들고 있습니다.
출처 : tvN DRAMA youtube
넷플릭스를 겨냥한 티빙의 반격
그동안 대한민국내 OTT 시장에서 넷플릭스는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며 다양한 히트작을 선보여 왔습니다. 그러나 티빙은 ‘정년이(Jeongnyeon: The Star is Born)'와 함께 넷플릭스를 맹추격하며 존재감을 확실히 드러냈습니다. ‘정년이’의 성공은 드라마 한 편의 흥행을 넘어 티빙의 MAU(월간 활성 이용자)를 대폭 끌어올리는 효과를 낳았습니다.
모바일인덱스 자료에 따르면, 티빙의 10월 MAU는 810만 명으로 집계되며 전년 대비 44.2% 증가했습니다. 이는 디즈니+를 넘어 국내 OTT 2위를 굳히는 성과이며, 넷플릭스와의 격차도 절반 가까이 줄였습니다.
'정년이' 리허설 현장 / 출처 : tvN DRAMA youtube
‘정년이’의 성공 비결: 독특한 소재와 배우들의 열연
‘정년이’는 동명 웹툰을 원작으로, 국극이라는 독특한 소재를 다뤘습니다. 국극은 낯선 주제일 뿐 아니라 주요 배역이 모두 여성으로 채워졌다는 점에서 기존 K드라마와 차별화된 시도를 보여줬습니다. 여기에 김태리, 신혜선 등 실력파 배우들이 더해져 감동적인 스토리와 몰입감을 선사했습니다.
첫 회 시청률 4.8%로 출발한 ‘정년이’는 회차를 거듭할수록 인기를 끌며 최종회에서는 전국 평균 시청률 16.5%, 최고 시청률 18.8%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해외에서는 디즈니+를 통해 대만, 싱가포르, 홍콩 등 아시아권 TV쇼 부문 1위를 차지하며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일본에서는 국극이라는 생소한 소재에도 불구하고 “이 가을 꼭 봐야 할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찬사를 끌어냈습니다.
티빙과 스튜디오드래곤의 상생
'정년이' 리허설 현장 / 출처 : tvN DRAMA youtube
티빙의 ‘정년이’ 성공은 제작사 스튜디오드래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최근 몇 분기 동안 적자를 기록하며 하락세를 보였던 스튜디오드래곤의 주가는 ‘정년이’ 방영 이후 며칠 사이 10% 이상 상승하며 반등의 계기를 마련했습니다.
스튜디오드래곤은 이번 작품을 계기로 넷플릭스 중심의 콘텐츠 공급 구조를 디즈니+와 같은 플랫폼으로 다변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이는 국내 콘텐츠 제작사와 OTT 플랫폼 간의 새로운 협력 모델을 제시하며, OTT 시장 경쟁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보입니다.
OTT 시장의 변화, ‘정년이’가 남긴 메시지
‘정년이’는 독특한 소재의 드라마를 넘어, 콘텐츠의 다양성이 시청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음을 증명했습니다. OTT 플랫폼 간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티빙은 이 작품을 통해 넷플릭스의 독주를 견제하며 경쟁 구도를 더욱 강화했습니다.
티빙이 앞으로 ‘정년이’와 같은 대작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수 있을지, 그리고 넷플릭스와의 경쟁에서 어떤 전략으로 맞설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스트리밍
한국 : 티빙, 디즈니플러스
미국 : hulu
전세계 : 디즈니플러스
여성국극의 공연 / 출처 : EBS 지색채널e youtube / 작품 출처 : 정은영
국극이란?
여성국극(女性國劇)은 1940년대 중반부터 대한민국에서 발전한 전통 공연 예술의 한 형태로, 모든 출연진이 여성으로 구성된 점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이는 한국 전통 연극인 판소리와 국극에서 영향을 받았으며, 여성들만의 독창적인 무대 예술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남성만이 주로 등장했던 전통 연극과는 달리, 여성 배우들이 남성 역할까지 소화하며 새로운 예술적 가치를 보여준 장르입니다.
여성국극의 특징
1. 전통극과의 연계성
여성국극은 전통적인 판소리와 국악 요소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창극(唱劇)처럼 노래와 연기가 결합된 형태로, 관객들에게 익숙한 한국 전통 문화 요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2. 올 여성 출연진
모든 배역을 여성 배우들이 맡으며, 남성 역할은 여성 배우가 연기합니다. 이러한 요소는 여성국극만의 독특한 매력을 형성하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3. 화려한 의상과 무대 연출
국극은 전통 의상과 소품, 그리고 감각적인 무대 연출을 통해 관객들의 시각적 즐거움을 극대화합니다. 특히, 여성국극은 이 요소들이 더욱 세련되고 섬세하게 표현됩니다.
4. 여성 해방과 문화적 역할
여성국극은 전통적으로 제한된 여성의 역할에서 벗어나, 그들의 창의성과 연기력을 드러낼 수 있는 무대였습니다. 이를 통해 당대의 여성들에게 새로운 문화적 가능성을 제시하였습니다.
여성국극의 역사
- 발생 배경
여성국극은 1945년 대한민국이 일본으로부터의 해방 이후, 여성들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함께 등장했습니다. 당시는 여성의 참여가 제한된 예술계에서 여성국극이 이들에게 중요한 예술적, 사회적 해방구가 되었습니다. - 전성기
1950년대와 1960년대는 여성국극의 전성기로, 극단 '여성국극단'을 중심으로 활발히 활동하였습니다. 이 시기에 많은 관객을 끌어들이며 대중적 인기를 얻었습니다. - 쇠퇴기
그러나 1970년대 이후 TV와 영화 등 대중매체의 발전으로 인해 여성국극의 인기가 점차 감소하였고, 현재는 소수의 전통 보존 활동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